[Computer Network] OSI 7 Layer (OSI 7 계층)
안녕하세요? 오늘은 OSI 7 계층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생각보다 어렵고 외울게 많은 내용이라 잘못된 정보는 꾸준히 수정하겠습니다.
OSI 7 계층의 탄생과 용도
초기 여러 정보 통신 업체 장비들은 자신 업체의 장비들만 연결되어 호환성이 없었다.
모든 시스템이 호환성을 위해 표준으로 정한것이 OSI 7 계층이다.
국제 표준화 기구 ISO에서 정의한 OSI 7 계층은 7개의 계층을 지니고 있다.
각 계층은 상하관계이며 연결된 두 호스트가 각각 7개 계층으로 구성된 모듈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것이다.
전반적인 흐름은 이러하다.
데이터를 전송한다면 송신 호스트의 상위 계층(응용 계층)에서 시작해 하위 계층(물리 계층)으로 순차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최종적으로 물리 계층에서 수신 호스트에 전달된다. 수신 호스트에서는 받은 데이터를 반대순서로 상위 계층(응용 계층)까지 보내 데이터를 사용한다.
OSI 7 계층 모델
데이터가 전송하는 과정에서 송신 호스트의 응용 계층 -> 물리 계층으로 데이터가 전달되는데 각 계층마다 프로토콜에 정의한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전달된다. 헤더정보+데이터를 PDU라고 부른다.
데이터+헤더(Data+Header) = PDU
각 계층별로 프로토콜 기능과 목적이 다 다르다.
동일 계층에 위치한 통신 양단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뗴문에 동료 프로세스 (peer to peer)라고 한다.
보통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에게 서비스를 요청한다. 즉, 상위 계층이 하위 계층의 서비스를 이용한다.
헤더 정보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송신 호스트의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 (응용 계층에서 물리 계층)까지 데이터를 보낼 때 각 프로토콜에서 정의한 헤더 정보를 추가하여 보내진다.
반대로 데이터를 수신 할때는 수신 호스트는 물리 계층부터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응용 계층까지 헤더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데이터를 보낸다.
헤더 정보로는 각 프로토콜 마다 다르게 정의된다. 보통 주소, 오류 제어, 흐름 제어를 위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또 헤더+데이터를 PDU라고 부르는데 이 PDU는 각 계층마다 또 다르게 불린다.
보통 Pysical layer(물리 계층), Data Link(데이터 링크 계층), Network (네트워크 계층) 이 하위의 3가지 계층은 통신망 통신선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중개 노드는 저 세가지 계층이다.
계층별 기능
OSI 7계층 모델의 모든 계층은 다 중요하다,
하지만 OSI 7계층의 제일 중요한 계층은 전송 계층이다.
그래서 전송 계층을 중심으로 하위에 있는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상위에 있는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으로 나눈다.
추 후 정리하여 열심히 적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