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객체 배열
·
Java/OOP
Tv 클래스를 만들었다 치자.  Tv t1 = new Tv(); t1.modelCode = "57R-V"; t1.price = 890_000; t1.userScore = 3.8; Tv t2 = new Tv(); t2.modelCode = "99SO-8"; t2.price = 1_890_000; t2.userScore = 5.0;  t1, t2 둘 다 같은 클래스 Tv 클래스를 사용했지만, 객체는 다르다.  Tv지만 Tv의 종류는 다양한 것처럼 코드에서도 t1과 t2는 다른 객체이다.    만약 t1이 참조하는 인스턴스의 모든 멤버 변수와 t2의 모든 멤버 변수를 출력해야 한다면 어떻게 할까?  Tv t1 ..
[Java] 객체 사용 방법 (OOP)
·
Java/OOP
오늘은 객체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이전 OOP글에서는 class 선언과 class 생성에 대해서 공부했다. 이제 클래스 내부에 있는 멤버변수(속성), 메서드들을 어떻게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을까?     객체를 생성하고 멤버 변수에 값을 넣는 방법은참조변수. 멤버 변수로 객체(인스턴스)에 접근하면 된다.  참조변수. 멤버 변수     *기억하자*   객체 참조 과정은 대충 이러하다 Car c에서 c 변수는 객체 주소 값을 가지고 있다.c. (c dot(.))을 사용하면 Car 객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c.price => @76b23ec81. price   과정을 한번 더 설명하면 1. Car c = new Car()    -> 객체를 생성했다 인스턴스화2. c.price = 50_000_..
[Java] 객체와 class_OOP
·
Java/OOP
Java는 객체 지향 언어의 대표적인 언어이다. 객체 지향 언어는 OOP (Object Oriented Programming)의 약자로. 프로그램 개발하는 방법론 중 하나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새로운 기능의 추가나 수정에 용이하다 이유는 객체 단위로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유지보수가 편해지고 가독성을 높아진다.  객체지향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가 다양한 용어가 등장하기 때문이다.      객체 지향을 쓰는 이유 만약 자동차 관련된 정보로 코딩한다고 치자, 자동차의 차종, 가격, 엔진 정보에 대해 처리한다고 가정하고, Sonata는 24000000원이고, 6500.5의 힘을 지님 이런 식으로 콘솔창에 출력을 한다고 하자.   String[] carName = {"Sonata", "Cas..
[Java] Argument와 Parameter의 차이점
·
Java
Java method를 정의하고 사용할 때 Argument와 Parameter는 무조건 사용한다. 이때, 두 개의 차이점이 많이 헷갈릴 수 있다. 차이점에 대해 공부하고자 한다.    일단 오라클 공식 문서에 있는 Parameter와 Argument의 정의이다.  Note: Parameters refers to the list of variables in a method declaration. Arguments are the actual values that are passed in when the method is invoked. When you invoke a method, the arguments used must match the declaration's parameters in type and ..
[Java] 배열을 쉽게 출력하기!
·
Java
Java에서 배열을 출력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의도에 따라 출력하는 방법이 매우 많다.        1. Arrays.toString method를 이용해 배열 안에 있는 값들을 출력할 수 있다.public class AssignmentInflear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1,2,3,4}; char[] cArr = {'a','b'};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rr)); System.out.println(cArr); }}    1.2 Arrays.toString method를 사용할 때, [] 이걸 표시하기 싫다. 이럴 땐,    ..
[Java의 정석] Chapter4 연습문제
·
Java
문제 4-4 1+(-2)+3+(-4)+ . . . 과 같은 식으로 계속 더해나갔을 때, 몇 번 더해야 총합 100이상이 되는가? int sum = 0; for (int i = 1; ; i++) { if (i % 2 == 0) { sum -= i; } else { sum += i; } if (sum >= 100) { System.out.println("횟수는: " + i); break; } }     문제 4-5 다음 for문을 while문으로 변경해라.  ..
[Java14] 새로운 Switch문
·
Java
Java에서 switch문은 if문과 달리 특정 값일 때 동작하는 문법이다.       기존 switch문을 자세히 보자.public class OldSwitch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phoneName = "Apple"; switch (phoneName) { case "Apple": System.out.println("애플쓰군요!"); break; case "SamSung": System.out.println("SAMSUNG쓰군요!"); break; ..